[LINUX] 자원 모니터링 명령어
1. CPU 활동 모니터링 ##################################################
# uptime
09:23:20 up 17 days, 7:36, 1 user, load average: 0.00, 0.02, 0.00
현재시간 / 시스템이 종사한 시간 / 현 시스템 사용자 수 / 평균부하치
/ 평균부하치는 5분, 10분, 15분 각각의 평균치
# ps aux | head -5
head -5 를 붙여주므로 해서 CPU 활동순위가 높은 것부터 차례로 열람
USER: 프로세서 소유자
PID: 프로세서 번호
%CPU: 사용된 CPU 측정량
%MEM: 사용된 메모리 측정량
VSZ: BSC와 System V 에 사용된 가상메모리
RSS: 사용된 실제 메모리
TTY: 프로세서와 관련된 터미널
S: 프로세서 활동상태
/R/: 실행 중 또는 실행 가능 상태
/S/: 비활성 상태
/I/: 휴지상태
/T/: 정지상태
/Z/: 좀비 프로세스
/D/: 디스크 대기
/W/: 스왑된 것
STARTED:프로세스가 실행 시작된 시간
TIME: 실행된 시간
COMMAND:명령어
# pstree
# ulimit -Sa <프로세서의 soft 한도>
# ulimit -Ha <하드웨어의 한도>
# vmstat 5 5 <메모리 모니터링; CPU 활동 포함, 5초 간격으로 5번 출력>
us: 사용자 프로그램을 실행시키는 사용 시간의 비율
sy: CPU 시간 단위로 소비된 CPU 사이클의 비율
id: 휴지시간 비율 (놀고 있는 시간)
참고: sy가 50%가 넘는다면 이는 I/O에 문제가 있음을 예상.
해당 프로그램이 효율적으로 I/O를 사용하는지 확인 바람
id가 항상 0이다. 즉 cpu가 항상 일만 한다고 생각하면 된다.
이 역시 어디선가 작업이 계속 축척되고 있다고 보면 된다.
2. 메모리 관리와 모니터링 ##################################################
# swapon -s <현재 시스템의 swap 확인>
3. 네트워크 부하량 체크
# traceroute -q 3 www.naver.com
/////////////////////////////////////////////////////////////////////////////
1) 프로세스 조회
# ps -ef
# pstree
2)시스템 자원 조회
# top <실시간 CPU 사용량 및 메모리, 프로세스 모니터링>
# free <메모리사용량>
# df -h
3)네트웍 설정 조회
# ifconfig -a
4) 마지막 로그인 기록 조회
# lastlog
5) 시스템 언어 로케일 변경
# vi /etc/sysconfig/i18n
---
LANG="ko_KR.UTF-8"
SUPPORTED="en_GB.UTF-8:en_US.UTF-8:en_GB:en_US:en:ko_KR.UTF-8:ko_KR.eucKR:ko_KR:ko"
---
6) 보안 및 방화벽 설정 <아이피, DNS 설정>
# system-config-network
# service iptables restart
# ntsysv <시작 서비스 관리>
# uptime
09:23:20 up 17 days, 7:36, 1 user, load average: 0.00, 0.02, 0.00
현재시간 / 시스템이 종사한 시간 / 현 시스템 사용자 수 / 평균부하치
/ 평균부하치는 5분, 10분, 15분 각각의 평균치
# ps aux | head -5
head -5 를 붙여주므로 해서 CPU 활동순위가 높은 것부터 차례로 열람
USER: 프로세서 소유자
PID: 프로세서 번호
%CPU: 사용된 CPU 측정량
%MEM: 사용된 메모리 측정량
VSZ: BSC와 System V 에 사용된 가상메모리
RSS: 사용된 실제 메모리
TTY: 프로세서와 관련된 터미널
S: 프로세서 활동상태
/R/: 실행 중 또는 실행 가능 상태
/S/: 비활성 상태
/I/: 휴지상태
/T/: 정지상태
/Z/: 좀비 프로세스
/D/: 디스크 대기
/W/: 스왑된 것
STARTED:프로세스가 실행 시작된 시간
TIME: 실행된 시간
COMMAND:명령어
# pstree
# ulimit -Sa <프로세서의 soft 한도>
# ulimit -Ha <하드웨어의 한도>
# vmstat 5 5 <메모리 모니터링; CPU 활동 포함, 5초 간격으로 5번 출력>
us: 사용자 프로그램을 실행시키는 사용 시간의 비율
sy: CPU 시간 단위로 소비된 CPU 사이클의 비율
id: 휴지시간 비율 (놀고 있는 시간)
참고: sy가 50%가 넘는다면 이는 I/O에 문제가 있음을 예상.
해당 프로그램이 효율적으로 I/O를 사용하는지 확인 바람
id가 항상 0이다. 즉 cpu가 항상 일만 한다고 생각하면 된다.
이 역시 어디선가 작업이 계속 축척되고 있다고 보면 된다.
2. 메모리 관리와 모니터링 ##################################################
# swapon -s <현재 시스템의 swap 확인>
3. 네트워크 부하량 체크
# traceroute -q 3 www.naver.com
/////////////////////////////////////////////////////////////////////////////
1) 프로세스 조회
# ps -ef
# pstree
2)시스템 자원 조회
# top <실시간 CPU 사용량 및 메모리, 프로세스 모니터링>
# free <메모리사용량>
# df -h
3)네트웍 설정 조회
# ifconfig -a
4) 마지막 로그인 기록 조회
# lastlog
5) 시스템 언어 로케일 변경
# vi /etc/sysconfig/i18n
---
LANG="ko_KR.UTF-8"
SUPPORTED="en_GB.UTF-8:en_US.UTF-8:en_GB:en_US:en:ko_KR.UTF-8:ko_KR.eucKR:ko_KR:ko"
---
6) 보안 및 방화벽 설정 <아이피, DNS 설정>
# system-config-network
# service iptables restart
# ntsysv <시작 서비스 관리>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