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C] oreilly vs smartupload
제가 알고 있는 업로드 패키지의 대표적인 주자는
oreilly의 multipartrequest와 jspsmart의 smartupload가 있습니다.
과거 처음 자바를 시작할때는 스승이 smartupload를 선호해서 smartupload를 이용해서 사용했습니다.
그러다가 java service net에서 이원영님의 글중 smartupload는 업로드 도중 중간에 취소하면 그 쓰레드가 쌓이고 쌓여 서버에 문제가 발생하는 버그가 존재한다는 내용이 있었습니다...
그래서 자연스레 multi로 옮겨가게 되었습니다.
제가 생각하는 두 업로드 패키지의 장단점을 비교해보겠습니다.
smartupload...
업로드시 캐릭터 인코딩이 따로 필요없습니다. 서버의 셋팅에 따라서 인코딩을 취합니다.
그러나 이것이 치명적인 단점이 되어 다국어 처리나 접속환경에 따라 인코딩에 문제가 발생합니다..
파일업로드폼의 name이 동일해도 별 수정없이 모두 사용가능합니다...
multipartrequest..
업로드시 캐릭터 인코딩이 필요합니다. 따라서 다국어 처리가 비교적 간단해질수 있습니다..
파일업로드 폼의 name이 동일하면 제공되는 API로는 모든 파일을 다 사용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가능한 폼의 파일업로드의 name는 다 다르게 만들어야 합니다.
또한, getFileNames()시에 폼에 작성된 순서대로 name이 출력되지 않습니다. 이것은 파일 정보를 hashtable에 저장하기 때문이므로, Linkedhashmap으로 수정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비록 multipart가 파일업로드시에 몇가지 제한이 있기는 하지만, 인코딩부분 처리만 추가해주면 손쉽게 다국어 처리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따라서 주인장은 oreilly의 손을 들어주고 싶습니다
oreilly의 multipartrequest와 jspsmart의 smartupload가 있습니다.
과거 처음 자바를 시작할때는 스승이 smartupload를 선호해서 smartupload를 이용해서 사용했습니다.
그러다가 java service net에서 이원영님의 글중 smartupload는 업로드 도중 중간에 취소하면 그 쓰레드가 쌓이고 쌓여 서버에 문제가 발생하는 버그가 존재한다는 내용이 있었습니다...
그래서 자연스레 multi로 옮겨가게 되었습니다.
제가 생각하는 두 업로드 패키지의 장단점을 비교해보겠습니다.
smartupload...
업로드시 캐릭터 인코딩이 따로 필요없습니다. 서버의 셋팅에 따라서 인코딩을 취합니다.
그러나 이것이 치명적인 단점이 되어 다국어 처리나 접속환경에 따라 인코딩에 문제가 발생합니다..
파일업로드폼의 name이 동일해도 별 수정없이 모두 사용가능합니다...
multipartrequest..
업로드시 캐릭터 인코딩이 필요합니다. 따라서 다국어 처리가 비교적 간단해질수 있습니다..
파일업로드 폼의 name이 동일하면 제공되는 API로는 모든 파일을 다 사용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가능한 폼의 파일업로드의 name는 다 다르게 만들어야 합니다.
또한, getFileNames()시에 폼에 작성된 순서대로 name이 출력되지 않습니다. 이것은 파일 정보를 hashtable에 저장하기 때문이므로, Linkedhashmap으로 수정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비록 multipart가 파일업로드시에 몇가지 제한이 있기는 하지만, 인코딩부분 처리만 추가해주면 손쉽게 다국어 처리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따라서 주인장은 oreilly의 손을 들어주고 싶습니다
댓글